2022. 1. 17. 15:24ㆍ카테고리 없음
사회적책임과 경영은 한 몸.
도브비누로 유명한 이 회사는 비누제조회사 레버브러더스와 마가린생산회사 마가린유니가 1930년에 합병하며 설립된 다국적 생활용품 제조기업이다. 생활용품, 화장품, 식음료, 동물사료, 화학약품 등을 취급/제조하고 있다. 세계 88개국에 진출해 제조시설을 갖추고 있다.
선택, 집중, 지속가능성이라는 3대경영전략
유니레버의 제품 대부분은 개발단계부터 사회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다: 치아관리 부실이라는 사회문제를 해결키위해 '올바른 양치습관'을 확산시킨 치약브랜드 피에스, 깨끗한 화장실을 보급하기 위해 이 가치를 전파하는 마케팅 활동의 청소세정제 브랜드 빔, 손을 잘 씻지 않아 발생되는 위생문제를 해결키위해 전개된 손씻기캠페인 속에 녹아든 비누브랜드 라이프부이 등. 유니레버는 사회공원활동을 광고에 활용해 '우리가 베트남 사회 문제를 해결키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메세지를 전송한다. 이 이미지는 브랜드의 신뢰와 긍정적인식으로 이어지고, 자연스레 판매량 증대로 연결된다.
이런 선순환 구조를 통해 ESG활동도 전개방식에 따라 얼마든지 실적증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폴 폴먼의 경영과 사회공언활동이 하나가 된 혁신적 ESG경영이 바로 실적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취임 첫 해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0%넘게 증가했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경영의 핵심가치로 삼고있다. 제품개발부터 인사관리, 홍보까지 모든 것이 이 가치 위에서 계획되고 움직인다. 폴 폴먼은 인건비 등 비용을 삭감하는 방식의 실적개선은 유니레버의 방식이 되어선 안된다고 말한다. 단기적 성과에 연연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서 사업체계를 준비하는 것이 결국 우리의 미래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투자자들을 설득한다. 이를 통해 자유로운 경영전략을 추진할 수 있었다.
폴 폴먼은 회사업무의 중요도와 마찬가지로 비정부기구/세계경제포럼 등에서 지속가능경영에 대해 발표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일로 여기며 활발히 활동한다. 빈곤종식, 물 부족, 위생개선 등이 기업운영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며 "사회의 아픈 부분은 내버려두고 우리만 성장하다가는 결국 모두 망한다.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경영 또한 사회 문제 해결의 일부가 되는 것이 당연하고 마땅하다'라 말했다.
공부하면서 개인적으로 전 사례인 엔비디아는 정말 돕고자 하는 마음으로부터 실천된 ESG경영, 유니레버의 경우는 똑똑하게 전략적으로, 니즈를 잘 맞춰 구사한 ESG경영이라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준다는 것만으로 두 기업의 행보는 모두 감사한 일이라고 생각한다.